전기기초

전기 단위의 배수 (SI 단위 접두어)

올지영 2023. 1. 8. 23:29

안녕하세요, 올지영입니다.

 

SI 단위란 무엇일까요?

SI는 프랑스어 Système International의 약어로,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국제 표준 도량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I 단위는 과학 기술 연구 및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본이 되는 단위에는

초(s), 미터(m), 킬로그램(kg), 암페어(A), 켈빈(K), 몰(mol), 칸델라(cd)

이렇게 7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 알아볼 것은 그 중에서도 SI 접두어에 대한 내용이에요.

지금은 전기 공부 중이니까요...

 

 

 

 

 

 


전기 단위의 배수 (SI 단위 접두어)


 

앞서 얘기한 SI 단위, 즉 국제표준 도량형을 사용하면,

각 물리량과 차원을 표기하는 데에 효과적이긴 하지만, 

문제는 단위의 규모(scale)에 있습니다.

 

전기에서 사용되는 물리량은

가끔은 무지막지하게 작은 값이 곱해지기도 하고,

엄청나게 큰 값이 요구되기도 하는데요,

 

 

이 수치를 위에서 언급된 기본 단위로만 표기한다면 자릿수가 지나치게 길어지고,

그 수치가 한 눈에 파악되지 않는 문제가 생기겠지요.

 

이를 보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SI 접두어 입니다!!

 

 

 

말이 너무 거창했나요?

SI 단위 자체와 더불어 전기 뿐만 아니라 이공계 전공자라면 기초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한동안 공부에 손을 놓고 살았더니 기억이 가물가물하더라구요...

 

필수적으로 알고 넘어가야할 정보라 생각되어 차근히 정리해 보았답니다.

 

 

 

 

다음은 전기에서 주로 언급되는 SI접두어의 일부입니다.

 

 

 
기호 읽는 법
T tera(테라) 1012
G giga(기가) 109
M mega(메가) 106
k kilo(킬로) 103
h hecto(헥토) 102
da deca(데카) 101
d deci(데시) 10-1
c centi(센티) 10-2
m milli(밀리) 10-3
μ micro(마이크로) 10-6
n nano(나노) 10-9
p pico(피코) 10-12
f femto(펨토) 10-15
a atto(아토) 10-18

 

 

 

각 기호를 단위 앞에 붙여서 써주고, 그 배수만큼 곱해져 있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여기서 잠깐...

 

SI접두어를 사용할 때 알아두어야 할 기본 원칙에 대해 언급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첫째, 단위정체로 씁니다.

 

둘째, 하나의 문자가 대소문자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지므로

원칙적으로 대소문자를 구별합니다.

 

셋째, 두 종류의 접두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넷째, 배수 표기가 양수인 경우 대체로 대문자, 음수인 경우 소문자로 씁니다.

단, 데카, 헥토, 킬로는 배수가 양수이지만

전통적으로 소문자로 써왔던 역사가 있어

예외적으로 소문자를 사용합니다.

 

 

 

 

 

기초 중의 기초, 단위의 배수/ SI 접두어에 대한 포스팅은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주저없이 알려주세요.

 

제 글이 마음에 드신다면, 구독공감 부탁드려요!

 

 

 

 

ⓒ올지영

 

 

 

 

 

'전기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압계, voltmeter  (2) 2024.06.19
전기에서 사용되는 그리스 문자  (0) 2023.01.10
전기 기초 용어와 단위 정리  (0) 2023.01.08